스토너|존 윌리엄스|김승욱|RHK|2015

자식이라고는 윌리엄 밖에 없어 쓸쓸한 분위기를 풍기는 집에서 식구들을 묶어주는 것은 힘겨운 농사일뿐이었다. 저녁이 되면 세 식구는 등유 램프 한 개로 불을 밝힌 작은 부엌에 앉아 노란색 불꽃을 물끄러미 바라보았다. 저녁식사를 하고 나서 잠자리에 들기 전까지 대략 한 시간 동안 들리는 소리라고는 대개 등받이가 높고 딱딱한 의자에서 식구 중 누군가가 지친 듯 몸을 움직이는 소리, 낡은 집 어딘가에서 목재가 작게 삐걱거리는 소리 뿐이었다.

스토너는 자신이 무엇을 할 생각인지 아버지에게 설명하려고 애썼다. 자신이 중요한 목표라고 판단한 것이 옳다는 감정을 스스로 불러일으키려고 애썼다. 그는 다른 사람의 말을 듣듯이 자신의 말에 귀를 기울이며 아버지의 표정을 지켜보았다. 아버지는 거듭된 주먹질을 받아들이는 돌덩이처럼 그의 말을 받아들였다......어머니는 그의 정면에 있었지만 그를 보고 있지 않았다. 눈을 꾹 감고  무겁게 숨을 몰아쉬고 있는 어머니의 얼굴은 고통스러운 듯 일그러져 있고, 주먹 쥔 손은 양뺨을 누르고 있었다. 스토너는 어머니가 소리 없이 마음 깊이 울고 있음을 깨달았다. 좀처럼 울지 않는 사람이라 어색해하면서 부끄러워하고 있었다.   

그러면서 문득 슬론이 전쟁 1년 만에 부쩍 늙어버렸다는 생각이 들었다. 50대 후반인 슬론은 실제 나이보다 열 살쯤 더 늙어 보였다. 멋대로 헝클어져 있던 강철색 곱슬머리가 이제는 하얗게 변해서 뼈만 남은 머리 위에 생기 없이 찰싹 달라붙어 있었다. 검은 눈도 습기의 막이 한 꺼풀 씌워진 것처럼 흐릿해졌다. 길고 주름진 얼굴은 예전에 얇은 가죽처럼 강인해 보였지만, 지금은 아주 오래돼서 바싹 말라버린 종이처럼 약해 보였다. 빈정거리는 말을 잘하는 단조로운 목소리에도 잔 떨림이 섞이기 시작했다. 스토너는 그를 보며 생각했다. 죽음을 향해 가고 계시는구나. 1년, 2년, 아니 10년 뒤라도 선생님은 돌아가시는 거구나. 때 이른 상실감이 몰려와서 그는 시선을 돌렸다. 

밖은 어두웠다. 봄의 싸늘함이 저녁 공기 속에 배어 있었다. 스토너가 심호흡을 하자 그 서늘한 기운에 몸이 찌릿찌릿하는 것이 느껴졌다. 들쭉날쭉한 집들의 윤곽 너머로 시내의 불빛들이 엷은 안개 속에서 반짝였다. 길모퉁이의 가로등이 사방에서 다가오는 어둠을 힘없이 밀어내고 있었다. 그 너머의 어둠 속에서 갑자기 웃음소리가 터져 나와 잠시 머무르다가 사라졌다. 뒷마당에서 쓰레기를 태우는 냄새는 안개에 붙들려 있었다. 스토너는 저녁 풍경 속을 천천히 걸으면서 그 향기를 들이마시고, 혀에 닿는 싸늘한 밤 공기를 맛보았다. 그가 걷고 있는 지금 이 순간 만으로 충분해서 더 이상 많은 것이 필요하지 않은 것 같은 생각이 들었다.

그렇게 그는 연애를 했다.   

읽다가 와 닿은 묘사들을 옮겨 적었는데
스토너의 가족의 일상을 보여준 첫번째를 빼면
모두 스토너의 결정적인 순간들이다.
첫 번째는 농업을 배우라고 들여보내 준 대학에서
문학으로 진로를 정한 뒤 부모에게 알리던 장면이고,
두 번째는 스토너에게 문학을 권하고 참전을 말리던 스승 아처 슬론,
마지막은 그의 마지막 사랑 캐서린 드리스콜과의 시작.

좀 이상한 생각이 들었다.
영문학을 공부하겠다고 결심한 때나,
이디스에 빠져 결혼했을 때나,
찰스 워커를 교육계에 들여놓을 수 없다는 명분으로 홀리스 로맥스와 맞설 때,
캐서린과 연애하고 헤어질 때,
스토너는 자신이 원하는 것을 확실히 깨닫고 이루어낸 사람인데
얼핏 많은 것을 인내하고 기다리며 살아온 인생 같아 보인다.

남다른 점이라면
어려움을 알고 자라면서도 화려한 성공을 하겠다는 야심을 가진 적 없는 것 뿐인데.
그의 주된 희생이 결혼생활과 육아였기에
아마도 '많은 것을 희생하고 사는 어머니'의 이미지가 덧 씌워져 그랬는지도 모르겠다.

오히려 평범하지 않은 스스로의 선택을
한 번도 꺾은 적이 없으며
진심 어린 눈물로 배웅할 스승이 있었고
그를 오해하지 않고 믿어주는 친구가 있었고
사랑이 있었고
마지막 순간 그를 그 자신으로 죽게해 준 그의 학문이 있었다.

알고 보면 빛나는 한 사람 한 사람의 인생이라는 걸 어떻게든 드러나보이게 하는 대신
오히려 존 윌리엄스는 스토너의 존재감 없던 빈자리로 그의 소개를 시작함으로써
이 '모든 것을 이루었으나 외로운 사나이'의 인생을
굉장히 평범하고 소시민적이지만 의미있는 것으로 그렸다.
사실 스토너는
대학 문턱을 밟은 몇 안되는 농부의 아들이었을 것이고
순수한 열정만으로 유복한 아내를 얻었으며
대공황기에도 안정적인 직업을 유지했고
행운 같은, 혹은 운명 같은
그 연애에 빠질 때도 실패하지 않았다.
로맥스와 같은 화려한 평판은 없었지만
평생 몸담은 일에서 보람을 찾으려 노력했고 만족한 적도 있었다.

문학이
통념에서 자유롭게 세상을 바라보는 시선이라 멋있다는 생각을 하게 된 뒤로
보기와는 다른,
혹은 생각과 다른,
그래서 알고 보면 다른
이야기들에 매력을 느낀다.
하지만 조금은 걸리적 거리는 감탄으로의 길.

뛰어난 재능의 홀리스 로맥스의 신체적 장애는
세상과의 싸움에서는 이긴 것 같았지만
자신과의 싸움은 진행 중이었고(아마도 끝나지 않았을 것 같다),
로맥스의 유사품(^^)이었던 찰스 워커가 등장하면서
로맥스는 심지어 객관을 잃은 패거리 후원자가 되어 스토너를 부당하게 압박한다.
편견과 다른 우열구도가 신선은 했지만
세상 편견에 맞서기도 바쁜 평범한 장애인들을 생각할 때
굳이 신체적 장애가 있는 사람을 스토너의 압제자로 골라야 했을까...싶었다.
못돼먹은 권력보다 장애를 보는 나의 짧은 눈썰미의 한계도 인정한다 마는...
암튼 그랬다.
 
사랑에 빠진 스토너의 묘사에서부터 이미
장기간의 상담치료가 필요해보였던 이디스는
결혼생활 내내 스토너를 갈등하고 외롭게 하며
한편으로는 그의 정신력 강화나 성장에 도움을 주었을지는 모르겠지만
아무튼 드디어 연애를 하게 된 스토너를 응원하게 만드는데 소비된다.
이디스를 이해할 수 있는 실마리는 전-혀 없다.

주로 참고 인내하는 인생이었던 것 같지만
결국 사랑했다던 딸도 연인도 손을 놓아버리고는
마침내 자신을 움켜쥐고 세상을 떠난 스토너의 삶.

열심히 일하고
열심히 사랑하고
열심이 자식 키우고
열심히 연애도 해야만
자기 자신으로 눈을 감을 수 있다는 익숙한 결론은 아닐 것이고
그렇게 산 인생에 작가가 준 선물이라기에도 좀 뻔하고...
김두식이 황정은의 추천으로 재미있게 읽었다고 해서 골랐는데
읽고 난 지금 김두식이 좋아하는 건 이해가 되지만
황정은은 왜?
'계속'했기 때문에...?
듣고 싶다.
중년남자버전의 매디슨 카운티의 다리랄까.
미쿡독자들은 열광할 수도 있겠지만
우리 나라에서의 인기는 또 왜?....
나처럼 낚인 사람이 대부분일지도 모른다ㅎ
그리고 2쇄인데 교정되지 않은 틀린 철자가 있었다.
장사가 급하게 잘됐나 보다.

PS. 궁금해서 읽어본 두 개의 스토너 독후감.
하나는 나의 심증을 굳혀 주었고
하나는 스토너의 '문학'이 내 생각보다 더 중요한 것이었다고 알려준다.
황정은의 추천의 실마리가 보이는 대목인데,
정말 듣고 싶다...

댓글 1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