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래. 초를 태우면 냄새가 없어지겠구나....도청에서 왔다고 하면 헐하게 주거나 그냥 가져가라는 사람이 많아 큰 어려움은 없다고 했다....초가 넉넉해서, 유족이 지키지 않는 관과 미확인 시신들의 머리맡까지 모두 밝힐 수 있었다.
....여태 초등학생같이 키가 안 자란 정대. 그래서 정미 누나가 빠듯한 형편에도 우유를 배달시켜 먹이는 정대. 정미누나와 친남매가 맞나 싶게 못생긴 정대. 단춧구멍 같은 눈에 콧잔등이 번번한 정대....
썩어가는 내 옆구리를 생각해.
거길 관통한 총알을 생각해,
처음엔 차디찬 몽둥이 같았던 그것,
순식간에 뱃속을 휘젓는 불덩어리가 된 그것,
그게 반대편 옆구리에 만들어놓은, 내 모든 따뜻한 피를 흘러나가게 한 구멍을 생각해.
그걸 쏘아보낸 총구를 생각해.
차디찬 방아쇠를 생각해.
쏘라고 명령한 사람의 눈을 생각해.
그들의 얼굴을 보고 싶다, 잠든 그들의 눈꺼풀 위로 어른거리고 싶다, 꿈속으로 불쑥 들어가고 싶다, 그 이마, 그 눈꺼풀들을 밤새 건너다니며 어른거리고 싶다. 그들이 악몽에서 피 흐르는 내 눈을 볼 때까지. 내 목소리를 들을 때까지. 왜 나를 쐈지, 왜 나를 죽였지.
방학하는 날까지 그녀는 날마다 정류장 옆 공중전화 부스에서 도청 민원실에 전화를 걸었다. 분수대에서 물이 나와서는 안된다고 생각합니다, 제발 물을 잠가주세요. 손바닥에서 배어나온 땀으로 수화기가 끈적끈적했다. 예에, 의논해보겠습니다. 민원실 직원들은 인내심 있게 그녀를 응대했다. 꼭 한번 나이 든 여사무원이 말했다. 그만 전화해요, 학생. 학생 같은데 맞지요. 물이 나오는 분수대를 우리가 어떻게 하겠어요. 다 잊고 이젠 공부를 해요.
당신이 죽은 뒤 장례식을 치르지 못해,
내 삶이 장례식이 되었습니다.
김진수가 더 많은 고통을 받았을까요.
아니요, 나도 충분히 고통받았습니다.
김진수가 더 잠을 못 잤을까요.
아니요, 나도 잠을 못잡니다. 하루도 깊이 못 잡니다. 숨이 붙어있는 한 계속 그럴 겁니다.
선생이 나에게 처음 전화를 걸어 김진수에 대해 물은 뒤 생각했습니다. 다시 전화를 걸어온 선생과 이곳에서 만날 약속을 잡은 뒤에도 생각했습니다. 하루도 빠짐없이 생각하고 또 생각했습니다. 왜 그는 죽었고, 아직 나는 살아있는지.
나중에 알았습니다. 그날 군인들이 지급받은 탄환이 모두 팔십만발이었다는 것을. 그때 그 도시의 인구가 사십만이었습니다. 그 도시의 모든 사람들의 몸에 두발씩 죽음을 박아넣을 수 있는 탄환이 지급되었던 겁니다. 문제가 생기면 그렇게 하라는 명령이 있었을 거라고 나는 믿고 있습니다. 학생 대표의 말대로 우리가 총기를 도청 로비에 쌓아놓고 깨끗이 철수했다면, 그들은 시민들에게 총구를 겨눴을지도 모릅니다. 그 새벽 캄캄한 도청 계단을 따라 글자 그대로 콸콸 소리를 내며 흐르던 피가 떠오를 때마다 생각합니다.
...저는 조합 활동을 적극적으로 못해요. 해고되면 안되거든요. 동생 학비도 보내야 하고, 언젠가 저도 공부를 할 거니까요. 의사가 되고 싶어요......사방에 흩어진 우리 신발을, 정미가 전부 모아서 노조 사무실에 갖다 놨대. 쪼그만 게 그렇게 서럽게 울더란다.
나중에 느이 작은형이 그러드마는. 총을 맞고 피를 너무 흘려서 네 얼굴이 그리 희었다고. 그래서 관이 가벼웠다고. 네가 아무리 덜 컸다고 해도, 그렇게 관이 가벼울 수는 없었다고. 그람스로 두 눈에 핏발이 서드라이. 이 원수는 내가 갚을랍니다. 그것이 뭔소리다냐, 깜짝 놀라서 내가 그랬다이. 나라에서 죽인 동생 원수를 무슨 수로 갚는다냐. 너까장 잘못되면 나도 따라 죽을 거이다.
그라고 삼십년이 흘러가도록, 너하고 느이 아부지 기일에 그 자식이 가만히 서서 입다물고 있는 것을 보면 마음이 이상해야. 네가 죽은 것이 저 때문이 아닌디, 왜 친구들 중에 제일 먼저 어깨가 굽고 머리가 하얗게 세었을까이. 저것이 아직도 원수 갚을 생각을 하고 있단가, 생각하면 가슴이 내려 앉아야.
특별히 잔인한 군인들이 있었던 것처럼, 특별히 소극적인 군인들이 있었다.
피흘리는 사람을 엎어다 병원 앞에 내려놓고 황급히 달아난 공수부대원이 있었다. 집단발포 명령이 떨어졌을 때, 사람을 맞히지 않기 위해 총신을 올려 쏜 병사들이 있었다. 도청 앞의 시신들 앞에서 대열을 정비해 군가를 합창할 때, 끝까지 입을 다물고 있어 외신 카메라에 포착된 병사가 있었다.
어딘가 흡사한 태도가 도청에 남은 시민군에게도 있었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총을 받기만 했을 뿐 쏘지 못했다. 패배할 것을 알면서 왜 남았느냐는 질문에, 살아남은 증언자들은 모두 비슷하게 대답했다. 모르겠습니다. 그냥 그래야 할 것 같았습니다.
그들이 희생자라고 생각했던 것은 내 오해였다. 그들은 희생자가 되기를 원하지 않았기 때문에 거기 남았다.
책을 읽으면서 이 책을 어떻게든 전두환에게 읽힐 방법이 없을까 생각했다. 지금도 그 자의 사면복권은 김대중의 월권이라 생각하지만, 정 그래야 했다면 최소한 자기 자신의 죄를, 그 모든 기록을 똑바로 보고, 최소한 며칠쯤은 그 원한을 온몸뚱이로 받아주게 했어야 했다.
그저 수백 수천의 희생자의 일부로, 실감나지 않던 그 삶, 한 명 한 명에게 이렇게 이름을 붙여주고 있는 한강. 소설 속에서 하나 하나의 죽음과 고통은 모두 다른 사람의 기억으로 남아 살아남은 자들의 죄의식과 슬픔을 전하며, 넋나간 채 직후의 애도시간을 잃어버렸던 그들과 갑작스런 통곡으로 공명하게 한다.
책을 읽기 전엔 그냥저냥 들었던 한강이 출연한 팟캐스트를 다시 듣는데, 우리 모두의 중요한 역사가 어쩌다 한 지역의 한이 되어버렸다는 얘기, 이 책은 많이 읽었으면 좋겠다던 작가의 당부가 깊게 남았다.
*책말미 한강이 각별히 감사드린 자료집 목록
광주오월민중항쟁사료전집/한국근대사 사료연구소/풀빛/1990
광주, 여성/광주전남여성단체연합/후마니타스/2012
우리들은 정의파다/감독 이혜란
오월애/감독 김태일
5.18자살자-심리부검보고서/연출 안주식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