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이 고단해지면 그림자가 일어선다. 이야기는 주인공 은교가 자신의 그림자가 일어난 줄도 모르고 따라갔다가 연인인 줄도 몰랐던 무재의 부름으로 돌아오는 것으로 시작해서, 어느덧 무재의 그림자도 일어나버린 후지만 소박한 사랑을 이어가는 것으로 마무리된다. 나름 귀여운 연애에 그림자빛이 감도는 이야기.
빚을 지지 않고 살 수 있나요?
그런 것 없이 사는 사람도 있잖아요.
글쎄요, 하고 무재씨가 나무뿌리를 잡고 비탈을 내려가느라 잠시 말을 쉬었다가 다시 말했다.
그런 것 없이 사는 사람이라고 지칭하고 다니는 사람을 나는 별로 좋아하지 않아요. 조금 난폭하게 말하자면, 누구의 배도 빌리지 않고 어느 날 숲에서 솟아나 공산품이라고는 일절 사용하지 않고 알몸으로 사는 경우가 아니고서야, 자신은 아무래도 빚이 없다고 말하는 사람은 뻔뻔하다고 나는 생각해요.
공산품이 나쁜가요?
그런 이야기가 아니고요, 공산품이란 각종의 물질과 화학약품을 사용해서 대량으로 만들어 내는 것이라 여러 가지 사정이 생길 수 있지 않아요? 강이 더러워진다든지, 대금이 너무 저렴하게 지불되는 노동력이라든지. 하다못해 양말 한 켤레를 싸게 사도, 그 값싼 물건에 대한 빚이 어딘가에서 발생한다는 얘기에요.
무재는 여기서 원죄를 이야기 하고 있다. 깨닫기 전에 한 일이라도 죄없다고 말할 수 없다, 공산품에 대한 생각에서는 자본에 기댄 모든 생산은 부정한 과정을 겪는 게 필연이다-라고. 이 온화하고 소박한 남자가 나름 발끈하는 것 같은 이 대목은 잊고 있던 현실의 먹구름을 가리키는 손가락 같기도 하고, 마치 종교처럼 군림하고 있는 자본주의를 짚어주는 통찰같기도 했다.
그림자는 보이잖아요?
보이지. 빤히 보이는 것을 두고 못 본 척을 하고 있으니 내가 직접 그림자가 있는 곳을 가리켜 보이며 그림자야, 그림자, 라고 말해도 말이야.
이렇게 살짝, 이라면서 여 씨 아저씨는 허공을 꼬집듯 왼손 엄지와 검지를 붙여 보였다.
얼굴을 찌푸리고 혐오스럽다는 듯이 나를 바라보기만 하는 거야. 사정이 이렇다 보니 나는 아무래도 좋은 거구나, 나 따위 그림자를 따라가더라도 상관없다는 거구나, 싶기도 하지 않겠어? 에이 썅, 따라가고 말아 버릴까, 싶어서.
따라가셨어요?
따라갔지. 그런데 그것도 잘 되지 않더라고. 목소리가 따라와.
목소리요?
차마, 차마, 하고 내 목소리가. 하여간에 십 리도 가지 못하고 집으로 돌아갔어. 어처구니가 없었지. 나라는 놈은 그림자도 따라가지 못하고, 하면서. 그 밤에 달이 얼찌나 밝은지 분화구가 다 보이고.
라면서 여 씨 아저씨는 길게 한숨을 쉬었다. 분화구 윤곽이 선명한 달이 뜬 밤에 구불구불 늘어진 그림자를 거느리고 집으로 돌아가는 여 씨 아저씨의 모습을 나는 생각해 보았다.
여 씨 아저씨가 말을 이었다.
요즘도 이따금 일어서곤 하는데, 나는 그림자 같은 건 아무것도 아니라고 생각하는 거야. 저런 건 아무것도 아니다, 라고 생각하니까 견딜 만해서 말이야. 그게 실은 아무것도 아닌 것은 아니지만 아무것도 아니라고 생각하니까 가끔은 아무것도 아닌 것이 맞는 것 같고 말이지. 그림자라는 건 일어서기도 하고 드러눕기도 하고, 그렇잖아? 물론 조금 아슬아슬하기는 하지. 아무것도 아니지만 어느 순간 아무것도 아닌 것이 아닌 게 되어 버리면 그때는 끝장이랄까, 끝 간 데 없이 끌려가고 말 것 같다는 느낌이 들어서.
하여간에 말이지, 라면서 여 씨 아저씨는 서랍 속에서 드라이버를 꺼내 앰프 껍질에 꽂힌 나사를 돌리기 시작했다.
여 씨 아저씨는 그림자를 따라나섰던 길에서 집으로 돌아왔다고 하지 않고 돌아갔다고 했다. 아직 마음이 다잡히지 않은 그림자가 남아있는 삶. 이 체험담은 모든 것이 마음 먹기 달렸다는 평범한 경구를 반복하면서, 본능적으로, 자기도 모르게 잡아끌었다는 목소리의 질긴 생명력을 느끼게 해준다.
하지만 이 대목이 강렬하게 와닿았던 건 저런 본능적인 담백하고 진솔한 여 씨 아저씨의 고백속에서 분화구와 달과 그림자와 여씨 아저씨를 주인공으로 수묵화를 그려 낸 은교의 상상에 대한 묘사였다.
그림자가 일어난 두 연인이 묻지도 따지지도 않고 사랑하는 이야기.
그들 삶의 터전이
다른 작가들은 별로 쓰지 않는
내가 기억 속 느낌 그대로의
내가 가본적 있는 곳이어서 반가왔다.
서로의 말을 반복해주는 은교와 무재의 은교의 대화를 듣고 있자니
심리상담 기법 중 '반영'이 생각났다.
상대의 말을 마치 내가 잘 들었다는 걸 확인시켜주듯 반복하는 것.
별 거 아닌 것 같은 이 대화법은
평소 충분히 존중받지 못한다고 생각해서 상처받은 사람들에게
큰 효과가 있다고 했다.
매력적인 소설을 읽고
그런 소설을 쓰는 황정은이라는 작가를 알게 되어 즐거운 2014년이다.
PS1. 책 내용을 옮겨 적을 때마다 느끼는 건데, 띄어쓰기 어렵다!!!!!!
국어학자들은 띄어쓰기 시험보면 다 백점 맞을수 있을까?
PS2. 책의 끝에 이 소설을 읽고 기사도 정신이 발동한 신형철이 현실의 자명성, 불행의 평범성, 언어의 일반성, 윤리적인 무지, 연인들의 공동체라는 다섯 개의 제목을 붙여가며 이 소설이 잘못읽히지 않기를 바라는 자신의 소망 담아 쓴 정성담긴 서평이 실려있어서 놀랐다. 아니 이런 서평도 썼으면서 왜 문학이야기에 황정은이 안나왔던 걸까.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