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녀귀신:조선 시대 여인의 한과 복수|최기숙|문학동네

 


귀신 이야기는 음파가 잡히지 않는 어두운 내면에 달아 놓은 문학적 확성기와 같다.
살아서는 할 수 없었던 말이 문학적 상상력의 힘으로 태어난 귀신 이야기 속에 고스
란히 담겼다. 물론, 이야기 속에서라도 사회의 모순을 뼈아프게 들추는 진실의 음성
에 귀 기울이는 것은 불편한 일이다. 바로 이 '불편함이 귀신 이야기가 형성하는 공
포의 요체다. 그리고 역설적이게도 그렇게 형성된 공포는 당대 사회의 건강성을 반
영하는 지표가 된다. 그것이 화들짝 놀라는 단발성 공포의 형식일지라도, 전율이 발
생하는 바로 그 순간만큼은 사회의 그늘을 들추는 불편한 진실과 목도하게 된다. 그
래서 공포의 순간은 차라리 신성하다. 섬뜩하고도 빛나는 여자 귀신들은 오늘날에도
여전히 무수한 현실적 장벽 속에서 그들의 은폐된 목소리를 전파하기 위해 '이야기'
라는 건강한 어둠의 경로로 끊임없이 존재증명을 시도하는 것이다. 사회의 모순이
엄연히 존재하는 한, 귀신 이야기는 불멸의 공포 장르, 비극의 파토스로 살아 있을
것이다.

처녀귀신들은 조선 시대 최약자들로 범죄의 대상이 되기 쉬웠고, 
억울한 모함을 당했을 때 현실에서 해결될 수 있다는 희망을 갖기 어려워 
자살한 뒤 원귀가 되는데,
이 원귀들 자체는 이승과 저승 경계선의 난민 같은 존재이고 
이런 슬픈 사연들이 묻히지 않고 이야기로 전해지는 것 자체는 건강한 일이라고 것, 
또 한자로 쓰인 야담집은 생산과 소비가 당시의 사대부들이라는 점을 주의해서 읽어야 하며
처녀귀신들이 관원을 찾아가 억울함을 호소하는 일은 정의 구현이기도 하지만 
한 편으로는 관원들의 유능함을 보여주려는 관점일 수도 있음을 짚어주는 게 신선했다.   

남자귀신들이 대부분의 죽어서도 가장의 도를 다하려는 어른이거나
죽은 뒤에도 벼슬에 오르는 반면
거의 모든 여자귀신은 처녀귀신들이며  
가부장제에서 충분히 보호 받지 못한 존재들이라는 점도 대비되는데 
기록으로 남은 거의 모든 귀신얘기들을 통계 낸 부분도 재미있다. 
 
가장 약했던 존재들이 
죽어서야 두려움의 대상이 된다는 건
현실에서의 제약을 반증. 

반복되는 부분이 많지만 
그냥 가볍게 여길 법한 전설의 고향의 기원 찾기를 넘어선
실한 귀신이야기 해설집.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