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은 왕녀를 위한 파반느|박민규

현실은 절대 그렇지가 않아, 라는 말은 나는 그 외의 것은 상상할 수 없어-라는 말과 같은 것이야. 현실은 늘 당대의 상상력이었어. 지구를 중심으로 해가 돈다 거품을 물던 인간도, 아내의 사타구니에 무쇠팬티를 채우고 십자군 원정을 떠나던 인간도, 결국 아들을 낳지 못했다며 스스로 나무에 목을 맨 인간도...모두가 당대의 <현실은 그렇지 않아>를 벗어나지 못했던 거야.
..하지만 그 <현실>은 아무도 입지 않는 청바지와 같은 것으로 변하게 될 거야.


개나 소나 수첩에 적어다니는 고린도전서를 봐. 오래 참고 온유하며, 자기의 유익을 구하지 아니하며...모든 것을 바라며 모든 것을 견디는...그 짧은 문장에는 인간이 감내해야 할 모든 <손해>가 들어있어. 애당초 현실에서 일어날 수 없는 일이야. 누군가를 사랑하는 일은


그래서 실은, 누군가를 상상하는 일이야. 시시한 그 인간을, 곧 시시해질 그 인간을...시간이 지나도 시시해지지 않게 미리, 상상해 주는 거야. 그리고 서로의 상상이 새로운 현실이 될 수 있도록 서로가 서로를 희생해 가는 거야. 사랑받지 못하는 인간은 그래서 스스로를 견디지 못해. 시시해질 자신의 삶을 버틸 수 없기 때문이지. 신은 완전한 인간을 창조하지 않았어. 대신 완전해질 수 있는 상상력을 인간에게 주었지.


고대의 노예들에겐 노동이 전부였다.
하지만 현대의 노예들은 쇼핑까지 해야한다.


지나온 미로를 복기하는 인간처럼, 나는 몇 번이고 그녀의 편지를 되풀이해 읽었다. 알 수 없는 어둠 속에서 그때마다 희망이 조금씩 싹트는 기분이었다. 길고 긴 문장의 길 끝에서 만나는 사랑합니다..다시 돌아와 만나게 되는 사랑합니다...그리고 어느 순간 그 한 그루의 묘목옆에 나란히 돋아 있는 또 한 그루의 <사랑합니다>를 나는 느낄 수 있었다. 나는 이미 그녀를 찾아낸 기분이었고


그녀를 찾아낸 <나>를, 새롭게 발견한 기분이었다.




그리고 걸어가는 
그녀의 모습을 볼 수 있었다.


그녀의 뒷모습은 조금씩 
조금씩 작아져갔고


또 조금씩 
작아지다가


이상하게도 더는 
작아지지 않았다.


언뜻 얘기를 들었을 때 참 박민규다운 사랑이야기일거라고 지레 짐작했었는데
의외로 박민규는 웅변을 하고 있었다, LOVE IS ALL WE NEED라고.
동감에 동감을 백만번 해도 답은 나오지 않지만요^^

초반부엔 누구라도 대체 얼마나 못생겼길래-가 궁금해지지 않을 수 없다.
아마도 그래서 그림까지 친절하게 넣었을 터이나
그래도, 단 하나 숙명의 장애물이 '못생김'이라면서
고작 이 정도를 제시한다면
오히려 '그녀'에게 한번 더 돌팔매를 던지면서
우르르낄낄 쥐군단들의 존재에 더 힘을 실어주는 것이 아닐까?

그럼에도 불구하고.
세수를 여러 번 하던 그,
며칠에 걸쳐 편지 한통을 쓰는 그녀가
생생하게 등장하는
조신한 러브필드의 한복판이
심장을 한번 꾹 움켜쥐고 지나갔다..

다시 한 번,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녀의 외전은 싫었다.
스무살의 그녀에게 빛을 준 스무살의 그에게 편지를 쓰는 그녀는
서른다섯살의 그녀여서는 '안된다는 생각이다'^^
아무리 그 빛으로 반짝인다 해도...

거의 늘 대여중이어서
도서관에 줄 새해선물로 장만한 책인데
니 자리는 내 책꽂이.
도서관 선물은 다른 아이들로 대신해야할 듯^^


읽은 후에 듣자면 마음속에 눈물이 방울방울...
Pavane, Ravel, Cyprien Katsaris

이 선율이 춤곡이라는 게 신기해서 찾아본 파반느.
보는 재미는 별로 없고 
추는 사람도 그닥 흥에 겨울 것 같진 않은데
좀 배우기는 해얄 것 같은 특이한 댄스.
이런 게 형식미라는 건지...

부러진 화살|2012

 
전문가의 손길이 느껴지는 포스터

두시간이 넘는 상영시간 내내 끊어지지 않던 웃음 소리-
물론 코미디 상황은 아니었다.
진지함의 최고봉일 법정에서 
권위의 상징같은 판사들의 진지함에
이렇게 많이 웃게 될 줄이야.


법원에 드나들게 된 사람들이 법조인 운운할 때 웃었는데
이 분이야 말로 진짜 법조인이 되신 것이지.
게다가 이 분은 법을 사랑하기 까지 하신다.
모든 장면에서 한 손에 법전을 들고 나타날때 마다
꼼꼼한 연출에 또 웃음이 나더라는.

사람들은 화가 난다지만, 나는 별로 그렇지 않았다.
오히려 판사 사마 아래 너도나도 굽시니스트가 되는 게 재판인 줄 알았는데
피고인이 적극적으로 발언할 수도 있다는 것이 신선했다.
내가 불편하게 느끼는 진실은
'사감없이 공정하게 판결해야 한다'는 건 당연한 전제조건일텐데도
판사의 잘못을 지적하고 과실을 따지는 것이 재판에 불리하다는 걸
아무렇지도 않게 받아들이는 정서다.

저런 삶은 힘든 것이다라고 말하는 사람들을 볼 때마다 생각한다.
그럼 그렇지 않은 사람들의 삶은 쉬운가?
저렇게 설득력 없는 재판을 받아 감옥에 갇히고도
만기출소를 해낸다는 것-인성 운운하던 임용탈락 요건 하나는 클리어 하셨음이 분명하다.
득도를 하지 않고서야 그런 감옥살이를 어떻게 견뎌낼수가 있단 말인가...

중권사마는 이번에도 칼을 휘두르시던데
이제는 보인다, 그가 '우르르' 스타일을 얼마나 혐오하는 지.
그럼에도 불구하고 '장독대 깨는 어린이'라는 표현에 빵 터졌다.
진짜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데도
읽는 순간 그림이 저절로 그려져버렸지 뭐야...

안성기와 문성근.
아주 아주 좋았다.
옆에 있으면 콕 쥐어 박고 싶던 문성근-어쩜 그렇게 재수 없는 표정을....

오늘 처음 갔던 킨텍스 메가박스.
죄송합니다-가 필요없을 널찍한 공간은 맘에 들었지만
20분이 넘는 광고를 보는 동안
문득 이런 방식-너무 폭력적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역시 극장은 늦게 가는 게 낫겠어.
너무 괴로워.

의뢰인|2011

좀 촌스럽지만 필요한 인물들이 다 등장하니깐.


하정우와 박희순이라서 고른 영화, 의뢰인.
별 기대 없었는데 
초반의 미스테리에서 중반으로 넘어가기까지 
흥미진진하다.
부당거래가 정의는 없다는 비관적 전제에서 시작했다면
의뢰인은 순수하지 않은 동기일망정
정의를 외면하지 않는다 희망적인 감성이 있다. 
그런 희망이 
특히나 요즘 같은 현실에서는 
더 영화적으로 보인다.

사실 결말은 프락티스 마지막 시즌의 앨런쇼어 에피소드와 비슷해서  
긴장감이 떨어졌지만, 
한국형 앨런 쇼어 하정우의 매력이 물씬.
전체적으로는 좀 오버다 싶어보이기도 하지만
하정우는 이제 신뢰가 갈만한 배우인 것 같다.
여유있는 공간안에서 꽉차게 놀 줄 아는.
무심결의 대사들도 재미있어서 
몇 번을 돌려보게 됐다.

뿌리깊은 나무에서 
상대배우와의 호흡을 끌고가는 장혁의 매력을 새롭게 보게 됐는데
여기서의 장혁은 극과 극이 단조롭다.
특히 감정씬을 볼땐 발리의 조인성을 보는 듯한 어색함이...

여기서의 박희순은 대체 가능한 역할 이어서
맨발의 꿈이 보고 싶어졌다.
갈증을 해소해주세요!

의외의 발견은 김성령.
연기 시작한지 오랜 건 알지만 
연기자라는 생각은 잘 안들었는데
최근의 변신을 보면 
이젠 배우인 것 같다.
다음을 기대~


최종병기 활|2011

 요즘 마스카라남들의 매력이 한창 
 전사같아 보이진 않는데 어쩐지 믿음직
맘에 드는 전투형 처자

초반 좀 지루해서 끊었다가 봤는데 
다 보고 나니 궁금했다.
이런 이야기는 어떤 때 누구에게 찾아오는 걸까.
인물과 이야기로 활을 형상화한 느낌.
코 앞의 적에게도 활을 겨누는
특이한 결투씬들까지 등장할 땐
활에 대한 만든 이의 각별한 집착이 느껴진다.

내공의 발전사를 과감히 건너뛰고
완성된 힘만을 보여주는 뚝심.
하나쯤 이런 접근도 있는 것이 다양성이겠지.
무사 박해일은 좀 어색했지만
아직은 여전한 완소남 리스트 소장용.

신기한 건 만주어인데
자세히 들을수록 무슨 말인 지 전혀 모르겠는데도
언뜻 알아들을 수 있을 것만 같은 
너무나도 친숙한 억양.

공주의 남자에 이어 사극전문 미녀로 활약중인 문채원의 코믹샷.
참 곱네......